앞장에서 DaemonSet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StaticPod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StaticPod란 무엇일까? Docs에 기재되어 있느 내용을 인용하면 Kubernetes API 서버없이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하며, Node에 필수로 설치하는 Pod을 배포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명되어 있다.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의 의미는 일반적은 Kubernetes 구조와는 다르다는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은 구조는 사용자가 어떤 명령을 하면 이를 API Server에서 모두 취합하여 명령을 내린다. API Server는 사람으로치면 두뇌의 역할을 한다. 그렇기에 API Server에 장애가 발생하면 Pod 배포가 되지 않는다. 근데 StaticPod는 API Ser..
Kubernetes에는 많은 형태의 Pod 배포 방법이 존재한다. 그렇기에 많은것을 공부해야되고 아직까지도 새로운것이 많다. 이번에는 DaemonSet 과 StaticPod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DaemonSet이란? DaemonSet은 노드별로 Pod를 배포할 때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예를들어서 클러스터에 5개의 Node가 존재한다면 Daemonset이 있다면 각 노드별로 Pod가 배포되고 총 5개의 Pod가 배포된다. 일반적으로 Node별로 Pod 정보를 수집하거나, Node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각 Node에 필수로 실행되어야하는 Pod가 있을 때 DaemonSet을 많이 사용한다.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도 Node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을 사용하는데, 이를 DaemonSet으..
Q1. How many static pods exist in this cluster in all namespaces? A1. 4 일반적으로 Static Pod는 /etc/kubernetes/mainfests 하위에 yaml 파일을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pod를 만드는 yaml을 두면 되고, 일반적으로 pod는 name 뒤에 의문의 문자열이 생기는데 static pod는 name 뒤에 node name이 붙게된다. static pod의 개수는 /etc/kubernetes/mainfests의 yaml 파일 개수를 확인해도 도고, pod의 name에 node가 붙어있는것을 확인하면 된다. Q2. Which of the below components is NOT deployed as a static p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