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Fortigate를 이용한 Outbound traffic 통제 구성[1/2] [AWS] NetworkFirewall 기능 정리 [AWS] Traffic은 어떻게 통제해야 할까? AWS 에는 EC2 또는 VPC 기준으로 트래픽을 통제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Route53 DNS Firewall, NetworkFirewall, SG, NACL, 3r.. dobby-isfree.tistory.com Fortigate 구성을 해봤다면, 이제는 Fortigate 기능에 대해서 알아본다!!! Fortigate 기능 Forigate 엔지니어가 더 잘알고 다들 있겠지만, 필자가 체험?한 기능 위주로 작성한다. 기능 구분 기능 여부 기능 상세 내용 비고 IP, Port 구분 ● • Src/Dst IP..
[AWS] NetworkFirewall 기능 정리 [AWS] Traffic은 어떻게 통제해야 할까? AWS 에는 EC2 또는 VPC 기준으로 트래픽을 통제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Route53 DNS Firewall, NetworkFirewall, SG, NACL, 3rd Firewall이 있다. 각 서비스마다.. dobby-isfree.tistory.com 최초에 Networkfirewall을 이용하여 Outbound Traffic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나, 기능이 너무 부실하다. 그래서 많이들? 사용하고 있다는 Fortigate를 이용하여 Outbound를 통제하기 위한 구성을 하고, 기능을 나열한다. Fortiagate 구성도 우선 대전제는 Fortigate를 위한 VPC를 별도로 분리하고, ..
[AWS] Traffic은 어떻게 통제해야 할까? AWS 에는 EC2 또는 VPC 기준으로 트래픽을 통제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Route53 DNS Firewall, NetworkFirewall, SG, NACL, 3rd Firewall이 있다. 각 서비스마다 사용 방법이 다르고, 기능이 다르고, 요.. dobby-isfree.tistory.com 위 게시물을 통해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는 AWS 자체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Networkfirewall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Networkfirewall이란? 말 그대로 AWS 관리형 서비스로 방화벽의 기능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Networkfirewall 서비스를 출시한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아서 할 수 있는 기능이나, 로깅이 매우 ..
ReplicaSet & Replication Controller 만약, Pod를 만들었는데 어떠한 이유로 Pod이 장애가 난다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해 단일 Pod으로 만들기보다는 복수의 Pod으로 만들어서 부하분산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사유로 동일한 Pod를 여러개 만들때 사용하는것이 ReplicaSet 또는 Replication Controller이다. ReplicaSet, ReplicationConroller 모두 특정 Pod에 대해서 특정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차이점은 뭐가 있을까? 구분 ReplicaSet ReplicationContoller 비고 출시시기 고도화 버전 완전 초창기 버전 Selector i..
Kube Proxy 아래와 같이 Pod에는 여러가지 Container가 구동될 수 있다. 이때 POD끼리 통신하기 위해서는 POD Network가 필요하다. 만약 좌측 POD이 웹서버이고, 우측 POD이 데이터베이스라고할 때 전통적인 서버 방식이라면 IP가 변경될일이 없기 때문에 IP 기반으로 통신을 하면 된다. 하지만 POD은 수시로 생성/삭제가 이뤄지기 떄문에 IP 기반으로 통신할 수가 없다. 이때 웹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좋은 방식이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접근 방식이다. kube-proxy는 Node/Pod/Container간 통신을 하기 위한 서비스로 이는 DeamonSet으로 배포하기 때문에 항상 POD에 배포된다.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k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