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CKA 강의를 듣는데, 강의를 듣다보니 kubernetes의 구조를 알아야 할 것 같아서 구조를 먼저 알아보도록 한다. Kubernetes 구조 Udemy에서는 k8s를 선박으로 비유하였다. 그리고 k8s에는 Master/Worker Node가 존재한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k8s 구조를 보면 Master Node와 Worker Node가 나온다. Master Node 란? Master Node는 클러스터에 관한 전반적인 결정을 수행하고, 이벤트를 감지하고 반응하는 역할을 한다. 즉, k8s의 두뇌이다. 그리고 해당 Node는 아래 컴포넌트로 이루어지며,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kube-apiserver :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역할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Master No..
CKA 자격증 을 찾아보면 모두 다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를 추천한다. 해당 강의에서 CKA 기본 개념도 알 수 있고, 실습 환경도 제공해준다고하여 많이들 수강하는거 같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가 있다.. 바로바로 영어로 강의가 제공된다는점이다. 처음에는 영어 자막을 틀어서, 듣고 있었는데 어느새 듣다보니 강의가 영어듣기인지.. CKA인지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 기본 자막에서는 한국어 자막이 없다 ㅜㅜ 그래서 찾아보니!! Udemy 강의에 대해 아래 2가지 방법으로 한글자막을 추가하는 기능이 있었다! 1. 개발자도구를 통한 한글자막 구현 1) 먼저 영어 자막을 활성화한다. 2) 영어 대본을 활성..
AWS 에는 EC2 또는 VPC 기준으로 트래픽을 통제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Route53 DNS Firewall, NetworkFirewall, SG, NACL, 3rd Firewall이 있다. 각 서비스마다 사용 방법이 다르고, 기능이 다르고, 요금이 다르다. 그래서 이를 좀 정리하고자 한다!! 각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1. Route53 DNS Firewall 서비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DNS Query 기반의 Firewall이다. DNS Firewall에서는 별도 구성 변경 없이 Route53 DNS Firewall 생성 후에 VPC만 연결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한가지 문제점은 하위 도메인 통제가 불가능하다. 2. NetworkFirewall 서울 리전에는 2020..
어느 평화롭게 Terraform 코드를 고치고 있던 어느날 Github에 PUSH를 하기 위해 Merge를 하니 CONFLICT 에러가 발생했다!! 처음에는 아주 당황해서.. 옆 부서 인원에게 도움을 받았다.. 도움을 받고 그 이후에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지/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어떤게 있을지에 대해 공부한 내역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그렇다면 CONFLICT 에러는 무엇일까? 간단하게 말하면, 서로 다른 User or Branch에서 같은 파일을 수정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위 그림의 예시를 들어보겠다. 1. John과 Bob은 동일함 Version 1.0에 대함 Branch를 만들어서 코드를 개발한다. 2. 하지만 우연히 John, Bob 모두 동일한 service.html를 수정한다. ..
테라폼에는 많은 기본 개념이 있다. 이제 하나씩 배우는 단계이므로 각 개념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provider란? 테라폼은 AWS뿐만 아니라 다른 플랫폼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에 해당 테라폼 코드가 어떤 플랫폼에서 실행을 할지 결정해주는 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aws 플랫폼 지정 외 아래와 같이 테라폼 코드로 리소스 생성을 할 수 있는 IAM 계정에 대한 정보를 많이 적는다. 만약, Key로 로그인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Key 정보를 명시적으로 입력해주면 된다. 그리고 만약 okta 등으로 로그인이 대체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credential 정보가 있는 경로를 지정해주면 된다. resouce란? 테라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실제 리소스를 생성하기 위한 형태라고 이해하..
Kobby
코비 is 뭔들